GoogLeNet

2019. 2. 8. 10:06Deep Learning/Backbone Networks

GoogLeNet

Christian Szegedy, Wei Liu, Yangqing Jia, Pierre Sermanet, Scott Reed, Dragomir Anguelov, Dumitru Erhan, Vincent Vanhoucke, Andrew Rabinovich


Contiribution

ILSVRC 14의 Classification, Detection 에서 1등을 차지한 GoogLeNet에 관한 Paper 이다.

    1. Inception Module

    • 딥러닝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sparse한 Layer와 dense한 matrix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 두가지는 trade-off 관계이다.
    • 이런 trade-off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nception Module 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 아래 그림 1-1은 Naive Inception Module 을 나타낸다. 다양한 크기의 convolution filter를 통과시키고 이를 concatenation 함으로써 spare layer + dense matrix의 trade-off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림 1-1. Naive Inception Module]

    • 여기서 의문점이 하나 생기는데, 5x5 convolution filter의 존재이다. VGG Network에서 보였듯이 convolution filter 의 크기가 커지면 training parameter가 커지게 된다. 그래서 GoogLeNet에서는 1x1 convolution filter를 사용한다.
    • 아래 그림 1-2는 1x1 convolution filter를 사용한 Inception Module의 구조이다. 여기서 1x1 convolution filter의 엄청난 사용성을 알 수 있다. input size에 상관없이 depth를 줄일 수 있다.

      [그림 1-2. Inception Module with Dimension Reduction]





    2. Network In Network(NIN)
    • 이전 네트워크들에서 사용하던 Fully-Connectied Layer(FC Layer)의 단점을 언급한다. 사실상 대부분의 CNN 네트워크에서 제일 많은 Parameter를 차지하는 부분이 바로 FC Layer이다.
    • GoogleNet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CNN 네트워크와 다르게 NIN 구조를 사용하였고, FC Layer 대신에 Global Average Pooling(GAP)을 활용하였다.



Architecture



굉장히 복잡해 보이는 GoogLeNet의 Architecture 이다. 빨간색 사각형으로 표시해 놓은 부분들이 Inception Module 이다.

Architecture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는 점이 하나 있는데, 상위 layer에서는 Inception Module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논문에서는 이러한 상위 레이어를 Stem 이라고 이름지었다.


Stem, Inception Module 외에도 한 가지 특이한 점이 있다. 바로 Auxillary Soft-max 이다. Gradient Vanishing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러한 구조를 취했다고 한다. 아래 그림은 Auxillary Soft-max를 나타낸다.


Auxillary Soft-max 의 구조에서 알 수 있듯이, 구글에서는 GoogLeNet이 오류 역전파가 잘 이루어 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있었던 것 같다.

실제로, 2014 ILSVRC에서 1위는 GoogLeNet이 차지했지만 사람들이 더 많이 사용한 Network Architecture는 VGG 였다. 오류 역전파가 잘 이루어 지지 않는다는 점 외에도, 구현하기에 어렵다는 문제도 존재하였다.

Experiments & Results

표에서의 7 model은 앙상블 모델을 나타낸다.


'Deep Learning > Backbone Networ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Net  (0) 2019.02.08
ResNet  (0) 2019.02.08
VGG  (0) 2019.02.08
AlexNet  (0) 2018.06.16